鑛夫의 세상世上 이야기

世上兮要我 - 세상은 나에게!!...

鑛夫 2013. 3. 1. 10:54

 


 

世上兮要我以無語 세상혜요아이무어,  세상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歲月兮要我以無垢 세월혜요아이무구,  세월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又無憎兮 료무애이우무증혜,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如水如風于而終庶 여수여풍우이종서,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怒而又無惜兮 료무노이우무석혜,  성냄도 벗어놓고 탐욕도 벗어놓고
 
如水如風于而終庶 여수여풍우이종서,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世上兮要我以無語세상혜요아이무어"나옹선사懶翁禪師가 자신이 깨달음을 얻고 나서, 자신의 깨달음을 시詩로 읊은 오도송悟道頌으로 널리 잘 알려져 있다.



나옹선사(懶翁禪師 1320 ~ 1376) 고려 말기의 고승으로 휘는 혜근慧勤, 호는 나옹懶翁이며, 본래 이름은 원혜元慧이다. 속성俗姓은 아牙씨인데, 고려 말기 무렵 예주부(지금의 경북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조선朝鮮 태조太祖 이 성계의 왕사王師였던 무학대사無學大師의 스승이었다.


경기도 양주군에 '회암사'라고 하는 절터가 있는데 우리나라 최대의 사찰로 중창했고,
그의 출생지 부근 경북 영덕군 창수면 운서산雲捿山 (해발520m)기슭에 장육사莊陸寺를 창건하고 오랫동안 머물며 참선했다고 전하며, 나옹선사가 입적한 뒤에는 많은 승려들이 모여들어 수도한 수도 사찰로 유명했다고 한다.


회암사 터의 뒤쪽에는 나옹, 지공, 무학, 세분의 부도와 비석이 현존하고 있는데,
비석은 조선왕조 유학사상의 지주였던, 목은 이색이 나옹선사를 찬하여 세운 비문이 지금도 남아있다고 하며, 장륙사莊陸寺는 고려 공민왕 때 세운 건물로 그 건물 내벽에는 아직도 그의 초상화가 남아있다고 한다.


그가 입적한 남한강변에 위치한 여주의 신륵사神勒寺에는 지금도 나옹선사의 사리를 봉안한 부도浮屠와 비문碑文이 남아 있다. 이 시詩의 작자에 대해서는 나옹선사 이외에 중국 당나라의 寒山스님이라는 설과 작자 미상이라는 설도 있다.

 

 

 

사랑도 부질없어 미움도 부질없어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네

 

탐욕도 벗어버려 성냄도 벗어버려   하늘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버려라 훨훨 벗어라 훨훨 사랑도 훨훨 미움도 훨훨 버려라 훨훨 벗어라

 

훨훨 성냄도 훨훨훨훨훨훨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부정이라는 더러운 권력을 지닌 자들에게 어떠한

불이익을 당하더라도, 힘 없는 서민은 그냥 입 다물고 살라 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같은가 보구나! 세상은 나를 보고, 이리 살다 가라 하는구나!

 

 

세월歲月



 

세세과연회          歲歲過然回

후회급급리          後悔急急利

과개개우신          過改改又新

연연세열래          然然歲悅來

 

지나간 세월들을 돌이켜 보노라니

후회는 빨리하면 할수록 이로우며

허물은 고치고 고칠수록 새롭나니

그러면 언젠가는 기쁜날이 오리라

 

 


광부鑛夫 작作 


 

 

지금의 사고방식으로 철 모르던 시절로 

다시 돌아갈 수만 있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깨달을 수 

있으련만, 못내 아쉽네요! 하지만 그래도 남은 생 열심히 노력하며 살렵니다. 그리하여 다음 생에 사람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면, 이번 生생처럼 기나긴 아픈 방황, 다시 하지 않으렵니다.


 


 

 

블로그 첫 개시 글  2013년 1월 4일 오후 12:40